감정평가사 시험일정 및 과목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정평가사는 새롭게 뜨고 있는 부동산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부동산 자격증이라고 하면 대부분 공인중개사와 주택관리사를 떠올리실 텐데 감정평가사 자격증이 향후 전망과 고액의 연봉으로 인기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평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자격 및 시험 일정 공부해야 할 시험 과목 자격증 취득 후 전망 등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감정평가사 시험일정 및 시험과목 향후 전망
감정평가사는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람입니다. 감정평가 대상으로는 토지 부동산 자동차 등과 같은 유형재산과 저작권 어업권 양식업권 등의 무형재산이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평가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시험일정 및 시험과목에 대해 알아보고 감정평가사 자격증 취득 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험일정
감정평가사 시험 일정을 알아보기 앞서 감정평가사 시험을 응시하기 위한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공인 어학성적 기준이 있는데요 어학성적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학성적을 준비 완료 했다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데요 2023년 시험 일정은 1차 접수 기간 2월 6일부터 2월 10일 1차 시험 일자 4월 8일 2차 접수기간 5월 22일부터 5월 26일 2차 시험 일자 7월 15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시험 접수는 큐넷을 통해 가능하며 정확한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사이트에서 항시 확인 가능합니다.
시험과목
감정평가사 1차 시험은 1교시 민법, 경제학원론, 부동산학원론 2교시 감정평가관계법규, 회계학으로 구성되며 시험 시간은 각각 120분 80분입니다. 1차 시험은 객관식 5지 택일형으로 절대평가이며 시험당 100점 만점 기준 과목별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입니다. 2차 시험은 1교시 감정평가 실무 2교시 감정평가이론 3교시 감정평가 및 보상법규 이렇게 구성되며 시험시간은 각 교시 100분입니다. 2차 시험은 논술형으로 평가되며 합격기준은 각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입니다. 단 모든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인 사람이 최소합격인 워에 미달할 경우 모든 과목 40점 이상 득점한 사람 중 전 과목 평균점수가 높은 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합니다. 이렇게 2차 시험까지 합격하고 감정평가업무를 하기 위해서 1년 이상의 실무수습 기간도 가져야 완전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실무수습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이론교육과정과 실무훈련과정으로 구성되며 이과정을 모두 마쳐야 비로소 감정평가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됩니다. 감정평가사 자격증의 유효기간은 5년이며 만료되면 자격증 유지를 위함 재등록이 필요합니다.
향후 전망
감정평가사가 되면 부동산, 자산 등의 유형무형의 자산들의 가치를 평가하는 직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감정평가사는 한국 감정원 등에 근무할 수 있으며 감정평가사사무소를 개인창업하여 사업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감정평가법인에 취업하여 활동하며 이러한 경력을 통해 은행, 공기업, 투자회사 등에 진출하여 근무하게 됩니다. 감정평가사는 경력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초봉 기준 3000~5000만 원 사이이며 기업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마무리
감정평가사 자격증 시험은 1차 2차로 나뉘어 있는데 특히 2차 같은 경우에는 시험 볼 수 있는 지역이 서울 부산 두 지역뿐입니다. 이것만 봐도 응시하는 인원이 그리 많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 이유로는 어려운 난이도가 첫 번째 이유입니다. 응시하시는 분들이 거의 고시급으로 보고 있으며 시험 준비기간을 2~3년은 잡아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려운 만큼 취득만 하면 취업이 용이하고 취업 후 장래도 밝으며 나중에 창업활동까지 생각한다면 노후 준비에도 탁월한 자격증이라 생각 듭니다. 시험응시 조건에 어학점수도 있을 만큼 취득하기 어렵지만 신중히 알아보고 철저히 준비하여 미래가 보장되고 노후 준비도 되는 감정평가사 자격증을 모두들 취득하시길 바랍니다.